반응형
    
    
    
  
파이썬 자료형 중에 숫자형에 대해 알아보기.
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100 같은 정수, 10.11 같은 실수 등이 있고
8진수 또는 16진수가 있다.
파이썬 숫자형 항목
- 정수
- 실수
- 8진수
- 16진수
- 
정수형 
정수형(integer)란 정수를 뜻하는 자료형을 말함.
양의정수 또는 음의정수
|  a = 111  print(a)  a = -111  print(a)  a = 0  print(a) | 
| 111 -111 0 | 
- 실수형
실수형(floating-point)은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를 뜻함.
|  a = 1.2  print(a)  a = -3.33  print(a) | 
| 1.2 -3.33 | 
지수표기법
아주 큰 숫자나 아주 작은 숫자를 표기할 때는 지수 표기법(exponential notation)을 사용합니다. 지수 표기법은 과학적 표기법(scientific notation)이라고도 부릅니다.
- 실수e+지수 : 실수 * 10의 거듭제곱입니다. 2.1e+3이라면 2.1 * 1000 = 2100이 됩니다.
- 실수e-지수 : 실수 * (1 / 10의 거듭제곱)입니다. 2.1e-2라면 2.1 * (1/100) = 0.021이 됩니다.
한마디로 + 이면 곱셈하면 되고
- 이면 나눗셈 하면된다.
여기에서 표현법은 4.23 * 10000000000
|  a = 4.23E10  print(a) | 
| 42300000000.0 | 
- 8진수
8진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( 숫자 0 + 알파벳 소문자 o 또는 대문자 O ) 로 시작하면 된다.
|  a = 0o122  print(a) | 
| 82 | 
- 16진수
16진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0x로 시작하면 된다.
|  a = 0x7ff  print(a) | 
| 2303 | 
반응형
    
    
    
  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파이썬 문자열 포매팅 (0) | 2020.05.17 | 
|---|---|
| 파이썬 문자열 연산하기 (0) | 2020.05.10 | 
| 파이썬 문자열 자료형 (0) | 2020.05.10 | 
| 파이썬 사칙연산(산술연산) 알아보기 (0) | 2020.05.05 | 
| 파이썬 PyCharm(파이참) 설치 하기! (0) | 2020.05.01 |